5월 21일(현지 기준) 아래의 기사가 나왔습니다. 오픈ai가 애플 출신의 수석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가 설립한 스타트업 io를 인수했다는 기사죠.

현재 AI와 관련해서 가장 뜨거운 기업인 오픈AI가 스마트 기기를 출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는 겁니다. 현재까지는 챗지피티같은 소프트웨어로 AI 시장 점유율을 압도적으로 높인 기업이 스마트폰같은 차세대 스마트기기를 만들려고 준비중이다?
엄청난 정보죠. 이와 관련된 협력사가 어디 있을지 한번 알아봅시다.
65억 달러 인수가 시작한 하드웨어 혁명
2025년 5월 21일(현지 기준), 오픈AI가 아이폰 디자이너 조너선 아이브의 스타트업 'io'를 65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오픈AI 역사상 최대 규모 인수이자, AI 소프트웨어 회사가 본격적인 하드웨어 시장 진출을 선언한 신호탄입니다.
화면 없는 목걸이형 AI 기기의 등장
https://www.macobserver.com/news/kuo-openai-and-jony-ives-io-ai-device-to-launch-in-2027/
위 기사의 내용을 보면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 형태 : 목걸이형 웨어러블 기기
- 화면 : 화면이 없는 스크린리스 디자인
- 기능: 마이크와 카메라로 환경 인식, 음성 중심 상호작용
- 크기 : 휴먼AI 핀보다 약간 크지만 여전히 컴팩트한 크기
- 출시: 2027년 양산 예정
이 제품은 스마트폰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Physical AI' 경험을 제공합니다. 화면에 의존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음성과 제스처로 AI와 소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진짜 핵심 파트너는 누구일까?
클로드에게 위 기기와 관련된 핵심 파트너 회사가 어디일지 물어봤더니 아래와 같은 대답을 했습니다.
Sony - 카메라 센서의 절대강자
필수 이유: 초소형 카메라 센서 시장 90% 독점
중립성: 모든 기술 기업에 공급하는 B2B 전문
경험: 조니 아이브 애플 재직 시절부터 협력
대체재: 사실상 없음
TSMC - AI 칩 제조의 유일한 선택
독점 기술: 세계 유일 3nm, 2nm 공정 보유
실적: 애플 M칩, 엔비디아 AI칩 생산 경험
필연성: 오픈AI 자체 AI 칩 개발 시 파트너
지정학적 리스크: 있지만 기술적 대안 부재
SK하이닉스 - 삼성 대신 선택될 메모리 파트너
삼성전자가 아닌 이유:
삼성: 갤럭시 워치/버즈로 직접 경쟁
SK하이닉스: B2B 전문, 웨어러블 제조 안함
엔비디아 AI칩용 HBM 메모리 독점 공급 (오픈AI와 간접 협력)
하나하나 알아봅시다.
우선 위의 내용을 퍼플렉시티의 연구 기능으로 정밀 검증해본 결과
소니는 2023년 기준으로 CMOS 이미지센서 시장에서 50%정도의 점유율(삼성은 15%정도의 점유율)로 압도적인 1위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스마트폰용 센서 분야에서는 애플, 삼성, 샤오미 등 주요 제조사에 공급하며 사실상 독점에 가까운 위치를 확보하고 있어 사실상 유일한 글로벌 공급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TSMC는 제가 AI 칩 관련된 정보에는 자세히 알지 못하지만 애플과 엔비디아, 퀄컴이 TSMC에 의존하고 있고 오픈AI도 자체 AI칩 생산에 TSMC와 협력을 계획중이라고 합니다. 출처 기사(https://www.sedaily.com/NewsView/2GOWZRNIQ4)
SK하이닉스도 이미 엔비디아와의 협력으로 알 수 있듯이 AI칩 성능 향상에 필수적인 고대역폭·저전력 메모리 생산 역량이 충분한만큼 오픈AI와의 협력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결론: 새로운 컴퓨팅 시대의 개막이 될까?
AI기술 분야에서 챗지피티로 많이 알려진 오픈AI가 생성하는 스마트기기가 앞으로 새로운 혁신 제품이 될 지 저도 너무 궁금한데요. 이 기기의 출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지, 아니면 기존에 많이 출시되었지만 실패한 웨어러블 기기처럼 실패하게 될지는 상황을 지켜봐야하겠지만 오픈AI가 스마트 기기를 출시하려고 움직임을 보였다는건 아무래도 흥미로운 내용인데요.
2027년 출시까지 약 2년동안 협력사로 예상되는 소니, TSMC, SK하이닉스와의 협력 발표와 공급계약 체결 소식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경제 >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양식품 2025년 1분기 실적과 전망: 초보 투자자를 위한 쉬운 해설 (0) | 2025.04.25 |
---|